섭취된 당(포도당)이 우리 몸에 흡수 되지 못하고 혈액에 쌓이다가 소변으로 넘쳐 흐르는 병입니다.
우리나라 성인의 약 10%가 걸릴 정도로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방치하게 될 경우 당뇨병성 망막증, 백내장, 당뇨병성 신증, 관상동맥질환, 뇌졸중, 말초동맥 폐쇄증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대비가 필요합니다.
당뇨병 합병증은 쉽게 회복되지 않으니 조기에 발견하여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.
해당 표는 손가락으로 좌우로 스크롤 해서 볼 수 있습니다.
정상
공복혈당장애
내당능장애
당뇨병
공복
100mg/dL 미만
100~125mg/dL 미만
126mg/dL 미만
126mg/dL 이상
식후 2시간
140mg/dL 미만
140mg/dL 미만
140~199mg/dL 미만
200mg/dL 이상
당뇨병 원인
유전적 요인
가까운 친척이나 가족 중 당뇨환자가 있으면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.
1) 인슐린의 분비가 유전적으로 낮은 경우
2) 인슐린 저항성을 갖는 경우
환경적 요인
서구화된 식습관 및 운동부족, 인구노령화 등의 원인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.
1) 운동부족 및 비만, 영양 불균형
2) 불규칙한 생활 패턴, 과도한 스트레스